KOTLIN

코틀린 기초 실습 (학교 문제)

hhd* 2024. 3. 19. 13:12

1. 루프(for)를 2번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구단 출력하도록 프로그램 만들기.

2x2=4

2x3=6

…(중략)…

9x8=72

9x9=81

* Collection와 Iteration을 활용

* 단, 출력할 때 문자열 내에 ${ }를 사용하여 변수를 넣어서 사용할 것

 

 

 

 


2. 10명의 퀴즈 점수 15, 4, 8, 9, 13, 12, 10, 9, 11, 6 을 저장하고 있는 배열의 최소 점수와 평균 점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* Collection와 Iteration을 활용

* 단, 최소 점수와 평균 점수를 계산하는 함수를 작성하여 사용할 것

  • 코틀린에서는 타입추론이 있기는 하지만, 함수의 리턴타입이나 변수의 타입을 지정할 때

       함수명(매개변수리스트) : 리턴타입   //   변수명 : 리턴타입   이렇게 지정한다.

 


3. 다음 코드가 오류 없이 실행되기 위해 파란색 부분에 들어갈 코드를 작성해보시오. (단, println 으로 출력되는 결과는 모두 hello 1 이다.)

 

 

답:

 

 

 

 


4. 다음 test() 함수의 리턴 값을 생각해보고 실행시켜서 확인해보자.

 

"20t"가 아니라 "20" 으로 바꾸면 print(test()) 결과가 20이 나온다. 

"20t" 문자열은 정수로 변환할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try-catch 블록에 걸려 exception이 발생하고, 결과적으로 0이 출력된다.

 

 

중요한 것은 코틀린에서는 try-catch 문을 쓸 때, try문의 반환값과 catch문의 반환값의 타입이 동일해야 한다!!!!!!!!


5. 다음 야구 경기 스코어를 각각 배열에 저장한 다음 스코어를 회수별로 출력하고, 점수의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* 단, 출력할 때에는 Collection의 forEach를 사용해볼 것, print와 println의 차이도 생각해 볼 것

1 2 3 4 5 6 7 8 9
Korea 0 0 0 0 1 0 0 2 0
Japan 1 1 0 0 0 0 0 0 0

 

출력 예시

 

for문으로 풀었을 때

      

forEach문으로 풀었을 때


6. 리스트를 입력 받아 이진 탐색 기반으로 특정 숫자를 찾아 해당 위치를 리턴하는 함수 만들기.

문제 (  // 함수 정의 //    채우기)

 

 

이진탐색은 이분탐색이라고도 불린다. 이진탐색은 탐색 범위를 반으로 나누어 찾는 값을 포함하는 범위를 좁혀가는 방식으로 동작한다.